CPVC 소방용 합성수지 배관의 특징
뛰어난 인장강도 내수압성 및 내충격강도
20여 년의 PCV 상수도관 전문생산 기술과 노하우를 CPVC 소방용 배관에 접목시켜 개발한 제품으로 인장강도, 내수압성 및 내충격 강도가 뛰어납니다.
-
인장강도시험
아령형의 시험편을 제작하여 배관의
인장항복강도를 측정하는 시험
(23℃에서 50MPa 이상)
-
수격/내압시험
0에서 2.4MPa 압력변동을
3,000회 가한 후, 6.0MPa의 내압시험을
시행하는 관의 내구성능 측정 시험
-
충격시험
배관을 -18℃, 0℃, 20℃에서
24시간 노출 후, 강봉을 자유낙하 시키고,
6.0MPa의 내압시험을 시행하는 내충격강도 측정 시험
-
편평시험
아령형의 시험편을 제작하여
배관의 인장항복강도를 측정하는 시험
(60% 이상 압축)
소방배관 화재시험
한국소방산업기술원 성능시험 중 화재시험(2010년 5원 12일 시행)
-
01
불꽃의 초기 온도 878℃(1600℉)
점화 후 1분 후 스프링클러 헤드 작동
-
02
10분간 천장 및 배관 연소
-
03
화재시험 후 배관 양호
- 화재시험 후 배관 내에 0.7MPa,1.1MPa 수압력을 5분간 가하여 이상이 없음.
- 배관 표면이 검게 그을린 외에는 배관 내의 손상 및 이상이 전혀 없음.
뛰어난 자기소화성
CPVC파이프가 연소하려면 산소량(L.O.I)이 지구상에 함유된 공기중 산소량보다 3배 가량 높기 때문에 자체적으로 타지 않으며, 불꽃이 적게 퍼져 연기가 적게 발생합니다.
좌우이동이 가능합니다
대기 중 산소 함유량 21%
뛰어난 자기소화성
재질별 한계산소율(L.O.I)을 안내합니다.
재료 |
L.O.I |
CPVC |
60 ~ 70 |
CPVC |
60 ~ 70 |
CPVC |
60 ~ 70 |
CPVC |
60 ~ 70 |
CPVC |
60 ~ 70 |
CPVC |
60 ~ 70 |
재질별 한계산소율(L.O.I)
부식성이 전혀 없습니다.
녹과 스케일의 발생이 없어 기존배관들의 문제점인 녹과 스케일의 발생으로 내부 구경이 좁아지거나 헤드가 막히지 않으며 유지 보수가 필요하지 않습니다.
-
CPVC 파이프
-
CPVC 파이프
30년 사용 후 비교사진
내열성 및 내화학성이 뛰어납니다.
일반적인 PVC 수도관보다 연화온도가 월등히 높기 때문에 고온인 100도씨에서도 충분히 사용이 가능하며, 전식 및 화학약품에 강합니다.
좌우이동이 가능합니다
뛰어난 자기소화성
재질별 한계산소율(L.O.I)을 안내합니다.
재료 |
L.O.I |
CPVC |
60 ~ 70 |
CPVC |
60 ~ 70 |
CPVC |
60 ~ 70 |
CPVC |
60 ~ 70 |
CPVC |
60 ~ 70 |
CPVC |
60 ~ 70 |
합성수지의 휠온도
열전도율이 낮아 보온성이 우수합니다.
타 배관재에 비해 열전도율이 매우낮아 열손실이 적고 보온 보냉을 요구하는 배관에 적합합니다.(강관의 1/300. 동관의 1/2600수준임)
좌우이동이 가능합니다
재질별 열전도성 비교
재질별 열전도성 비교표를 안내합니다.
재료 |
L.O.I |
CPVC |
1.0 |
통관 |
2616.0 |
주철관 |
360.0 |
강관 |
312.0 |
콘크리트 |
6.5 |
벽돌 |
4.8 |
PVC |
1.3 |
재질별 열전도성 비교
유체의 흐름이 좋고, 유속의 변화가 없습니다.
내식성 및 내마모성이 우수하고 스케일이나 부식이 형성되지 않아 물의 흐름이 원활하고, 수십년 이상 사용해도 유속의 변화가 거의 없습니다.
좌우이동이 가능합니다
재질별 유체흐름계수(C)
재질별 유체흐름계수(C)표를 안내합니다.
재료 |
C Factor |
CPVC |
150 |
아연도금관, 흑관(습식, 일제살수식) |
120 |
흑관(검식, 준비작동시) |
100 |
재질별 유체흐름계수(C)
시공성이 우수하고 경제적입니다.
제품이 가볍고 간편한 본드접착 결합방식으로 좁은공간에서의 접합이 쉽고 용이하여 숙력공이 불필요하며 시공기간이 단축됩니다.
좌우이동이 가능합니다
단위세대당 (2세대 + 공동) - 33평형기준(109㎡)
(단위 : 원)
경제성 비교
경제성 비교표를 안내합니다.
품명 |
자재비 |
인건비 |
금액 |
비율(%) |
비고 |
동관 |
3,362,000 |
1,368,000 |
4,730,000 |
215% |
강관대비 |
백강관 |
1,013,000 |
1,186,000 |
2,199,000 |
100% |
|
C-PVC |
1,328,000 |
639,000 |
1,967,000 |
89.5% |
강관대비 |
차감금액 |
315,000 |
-547,000 |
-232,000 |
10.6% |
강관대비 |
경제성 비교